0. 요약

더보기

Step 1. 작업 파일 저장하기

Git으로 관리하려면, 우선 파일이 로컬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어야 합니다.

 

 

Step 2. Git 에서 변경사항 확인하기

: 현재 작업 디렉터리에서 어떤 파일이 수정·추가·삭제되었는지 확인하고, Git 작업할 파일을 찾습니다.

git status

 

 

Step 3. Git 에 변경된 파일 추가하기

: 변경된 파일을 Git 스테이징 영역(Stage/Index) 에 추가합니다.

git add <파일명>

 

 

Step 4. Git 에 저장하기

: 스테이징된 변경 내용을 로컬 저장소(Local Repository) 에 확정(Commit)합니다.

git commit -m <메시지, 제목, 설명 등>

 

1. git status

: git 으로 관리되는 프로젝트의 변경된 사항을 확인합니다

더보기

git init 명령어로 VS Code와 Git을 연동하면, VS Code의 탐색기(Explorer) 와 소스 제어(Source Control) 패널에서 각 파일의 상태(Status)가 알파벳 기호로 표시됩니다. 

상태 표시 U 는 “Untracked(추적되지 않은 파일)”을 의미합니다.

 

② 터미널에서 현재 경로를 확인한 뒤, 

git status 명령어를 입력하면 작업 변경 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현재 브랜치는 main 입니다. 아직 커밋을 하지 않았으므로, Git에 저장된 이력이 없다는 의미입니다.

또한, Git은 커밋을 추가하는 방법을 안내 메시지로 함께 출력합니다.

 

대표 기호
의미
U (Untracked) Git에서 아직 추적하지 않는 파일
M (Modified) 수정된 파일 (변경됨)
A (Added) 스테이징된 새 파일
D (Deleted) 삭제된 파일
R (Renamed) 이름이 변경된 파일
C (Copied)  복사된 파일

 

정리하면, git status 는 현재 Git 저장소에서 추적 중인 파일과 추적되지 않은 파일, 그리고 커밋 준비 상태를 한눈에 보여주는 명령어 입니다.

 

2. git add 

: 변경된 파일을 Git의 스테이징 영역(Stage/Index) 에 추가합니다.

더보기

① 터미널에서 현재 경로를 확인합니다.

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커밋할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(Stage)에 추가합니다.

git add <파일명>

이후 git status 명령어를 실행하고, 이전 상태 출력과 비교해봅니다.

[동일] 현재 브랜치는 main 으로 동일하며

[동일] 아직 커밋을 하지 않았으므로, Git에 저장된 이력은 없습니다.

 

[변경] 커밋할 변경 사항에 새 파일 README.txt 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상태 표시 A는 “Add(스테이징된 새 파일)”을 의미합니다.

 

git add 는 작업한 파일을 “스테이징 영역”에 올려서 커밋할 준비를 하는 명령어입니다.
즉, 단순 저장(Save)이 아니라 Git이 기록할 후보 목록에 등록하는 과정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.

 

3. git commit

: 스테이징된 변경 내용을 로컬 저장소(Local Repository)에 저장(Commit)합니다.

더보기

① 터미널에서 현재 경로를 확인하고,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커밋합니다.

git commit -m <설명메시지>

  커밋이 완료되면, 해당 변경 사항은 이미 Git 저장소에 기록되었기 때문에
VS Code의 탐색기(Explorer)나 소스 제어(Source Control) 패널에 더 이상 상태(Status) 알파벳 기호가 표시되지 않습니다.즉, 모든 변경 사항이 커밋으로 확정되어 Git이 추적할 새로운 변경점이 없다는 의미입니다.

eeb062a: 커밋을 구분하는 고유한 해시값(ID)의 앞부분입니다.
1 file changed, 3 insertions(+): 파일 1개가 변경되었고, 3줄이 새로 추가(insert)되었음을 의미합니다.

 

  • commit 의 사전적 의미
    • (그릇된 일·범죄를) 저지르다[범하다]
    • ~을 마음에 새기다[기억하다]
    • ~을 적어 두다
  •  Git에서의 Commit 의미
    • Git의 동작과 가장 가까운 의미는 “~을 적어 두다(기록하다)” 입니다.
    • 즉, commit 은 의미 있는 변경 작업들을 Git 저장소에 기록(확정) 하는 동작입니다.
    • 정리하면, Git 저장소의 특정 branch에 변경 사항을 저장(save)하여 이력으로 남기는 과정이 바로 commit 입니다.

 

4. 프로젝트 변경 사항을 git 에 추가 저장하기 (1)

: 코드 추가 후, Git 저장 반복하기

더보기

① 프로젝트의 소스코드 파일을 추가하거나 수정합니다.

VS Code에서 상태 표시 M 은 Modified(수정된 파일) 을 의미합니다.

변경된 파일은 반드시 저장(Save) 해야 합니다. 

 

④ 터미널에서 현재 경로를 확인합니다.

git status 명령어를 실행하여, 이전 상태 출력과 비교합니다.

[동일] 현재 브랜치는 main이며, 아직 새로운 커밋을 하지 않았으므로 Git 저장소에는 추가된 이력이 없습니다.

[변경] 이번에는 이미 한 번 커밋된 파일이므로 Git이 해당 파일을 추적하고 있으며, 상태는 수정됨(Modified) 으로 표시됩니다.

 

새로운 파일은 Untracked → Add → Commit 과정을 거쳐 추적 대상으로 등록되지만,
이미 커밋된 파일은 수정되면 즉시 Modified 상태로 표시되고 Modified → Add → Commit 대상이 됩니다.

 

 

 

 

① 터미널에서 현재 경로를 확인합니다.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커밋할 파일을 추가(add)하고, 커밋(commit)합니다.

git add <파일명>
git commit -m <설명메시지>

커밋이 완료되면, 해당 변경 사항은 이미 Git 저장소에 기록되었기 때문에
VS Code의 탐색기(Explorer)나 소스 제어(Source Control) 패널에 더 이상 상태(Status) 알파벳 기호가 표시되지 않습니다.즉, 모든 변경 사항이 커밋으로 확정되어 Git이 추적할 새로운 변경점이 없다는 의미입니다.

 

3f5c0f4 : 커밋을 구분하는 고유한 해시값(ID)의 앞부분입니다.
1 file changed, 3 insertions(+): 파일 1개가 변경되었고, 2줄이 새로 추가(insert)되었고, 삭제된 줄 1개을 의미합니다.

 

  • commit 의 사전적 의미
    • (그릇된 일·범죄를) 저지르다[범하다]
    • ~을 마음에 새기다[기억하다]
    • ~을 적어 두다
  •  Git에서의 Commit 의미
    • Git의 동작과 가장 가까운 의미는 “~을 적어 두다(기록하다)” 입니다.
    • 즉, commit 은 의미 있는 변경 작업들을 Git 저장소에 기록(확정) 하는 동작입니다.
    • 정리하면, Git 저장소의 특정 branch에 변경 사항을 저장(save)하여 이력으로 남기는 과정이 바로 commit 입니다.

 

5. 프로젝트 변경 사항을 git 에 추가 저장하기 (2)

: 코드 삭제 및 파일 추가 후, Git 저장 반복하기

더보기

① 기존 파일의 4번째 줄(Line 4) 을 잘라내어 삭제합니다.

② 새 파일 main.txt 를 생성한 뒤, 잘라낸 코드를 붙여넣습니다.

③ 이후 git status 명령어를 실행하여, 이전 상태 출력과 비교합니다.

 

 

 

 

수정된 모든 파일을 한 번에 스테이징 영역(Stage)에 추가합니다.

git add .

 이후 git status 명령어를 실행하여, 이전 상태 출력과 비교합니다.

 .git 저장소에 변경 사항을 커밋합니다.

git commit -m <메시지>

 

 

 

add와 commit을 한 번에 진행하기

 

아래 명령어를 사용하면 스테이징(add)과 커밋(commit)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습니다.

단, 이 방법은 이미 한 번 Git에 추적(tracked)된 파일만 가능하며, 새로 추가된(Untracked) 파일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

git commit -am <메시지>

 

 

 

명령어 의미
git add .  수정된 파일 전체를 스테이징 영역에 등록
git commit -m "..."  등록된 변경 사항을 로컬 저장소에 기록
git commit -am "..." 이미 추적 중인 파일만 자동 add + commit

 

6. 반복

더보기

workspace 폴더 경로의 .git 폴더를 삭제하고 계속 반복과 응용 연습한다.

 

 

1. git init 명령어를 통해, workspace 를 git 이 관리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. 

git init

 

 

2. 소스코드나 문서를 작성하거나, 추가, 삭제 한다.

반드시 파일을 저장한다.

 

 

3.  git 으로 변경사항 확인하기

git status

 

 

4. 파일과 변경사항 추가하기

git add <파일명>

 

 

5. 저장하기

git commit -m <메시지, 제목, 설명 등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