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 Git 커밋 로그 확인하기

: git log

더보기

① 아래 명령어로, 터미널에서 현재 경로를 확인합니다.

git log


②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두번째 커밋 로그를 확인합니다.


 

2. Git 불러오기

: git reset

더보기

① 로그에 표시된 커밋 중, 되돌아가고 싶은 시점의 해시코드(앞 7자리 정도) 를 선택합니다.

② 선택한 해시코드를 사용해 브랜치를 해당 시점으로 되돌립니다.

git reset --hard <해시코드7자리>

 

  • git reset --hard 는 브랜치 포인터와 워킹트리(작업 디렉터리), 스테이징 영역을 모두 지정한 커밋 시점으로 강제로 되돌리므로 반드시 되돌려도 되는 상황에서만 사용해야 합니다.
  • 현재는 Git의 저장과 되돌리기 개념을 학습하기 위한 연습용으로 우선 활용해 보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세번째 커밋 이전인, 두번째 커밋 저장 시점으로 복귀했습니다.

②  두번째 커밋 시점 기준으로, 이후 추가된 main.txt 파일의 내용이 삭제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 

기존 README.txt 파일만 존재합니다.

 

세 번째 커밋 이후의 이력을 모두 되돌리고, 두 번째 커밋 시점으로 복구했습니다.

따라서 현재 프로젝트의 상태는 두 번째 커밋 당시의 상태와 동일합니다.

  • README.txt : 두 번째 커밋 기준의 내용만 남아 있음
  • main.txt : 세 번째 커밋에서 추가된 파일이므로, 되돌리면서 삭제됨

즉, git reset --hard <두번째 커밋 해시> 는 브랜치 포인터와 워킹트리, 스테이징 영역을 모두 두 번째 커밋 시점으로 맞추었기 때문에 세 번째 커밋 이후의 변경 이력은 사라지고, 해당 시점의 상태만 유지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