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1. 딕셔너리

 

문자열, 리스트, 튜플이 Index(인덱스) Sequential(순차)적으로 Value(값)에 접근한다면,

딕셔너리는 Key(키) Non-Sequence(비순차)으로  Value(값)에 접근한다.

# *딕셔너리 선언은, { } 중괄호에 {키:값} 한 쌍 단위로 저장하며 ,(콤마)로 구분한다.
# 예시 >> 딕셔너리 = {키1:값1, 키2:값2}

# *dict( ) 사용
# 딕셔너리 = dict(키1=값1, 키2=값2)
# 딕셔너리 = dict(zip([키1, 키2], [값1, 값2]))
# 딕셔너리 = dict([(키1, 값1), (키2, 값2)])
# 딕셔너리 = dict({키1: 값1, 키2: 값2})

# 딕셔너리의 키가 중복 사용되면, 가장 마지막 값만 호출된다.
# 빈 딕셔너리를 만들고, 새 값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.
# 예시 >> 딕셔너리 = { }, 딕셔너리 = dict( )


# 1 #
# 문자열 1개, 정수 1개, 실수 1개, boolean, list, 튜플을 각각 변수로 초기화하고, 
# 딕셔너리에 key 의 value 로 추가하여 출력하세요.
# ( key는 변수명과 동일하게 하세요.)
# 결과 >> {'str': 'A', 'num': 1, 'flt': 1.11, 'lst': [1, 2, 3], 'tpl': (4, 5)} 비슷하게 출력할 것


# 2 #
# 위에서 만든 딕셔너리의 실수 value를 출력하세요


# 3 #
# 딕셔너리를 하나 더 만들고, 처음 만든 딕셔너리에 추가하세요
# 결과 >> {'str': 'A', 'num': 1, 'flt': 1.11, 'lst': [1, 2, 3], 'tpl': (4, 5), 'dict': {'temp': 123, 'add': 456}}


# 4 #
# 처음 만든 딕셔너리의 정수값과 실수값을 교체하고, key, value를 출력하세요


# 5 # 
# 처음 만든 딕셔너리의 첫번째 요소를 삭제하고 출력하세요


# 6 # 
# 딕셔너리의 key 만 추출해 리스트로 출력하는 함수와 
# 딕셔너리의 values 만 추출해 리스트로 출력하는 함수를 사용하여
# 새로운 딕션너리에, 'keys', 'values' 라는 key 값으로 리스트를 각각 맵핑하고 출력하세요.

* 참고

딕셔너리는 '이름' = '홍길동', '생일' = '1999.01.01' 과 같은

대응 관계를 표현하는 연관 배열(Associative arry), 해시(Hash) 구조다.

Key 는 변할 수 없는(Immutable) 값이고, Value 는 변하는 값(Mutable)으로 맵핑된 순서가 없는 집합이다.

 

 

BasicLike

어? 나 프로그래밍 좋아하네?